<일본어공부> ”いけない” 의 기본 개념 및 활용

2024. 9. 21. 20:55일본어학습

728x90
반응형

공부하는허딩크 : https://www.youtube.com/live/hGuq4sdz-MA?feature=shared

 

"いけません"은 "行ける (いける)"의 부정형이 아니라, **"いけない"**라는 표현에서 온 것입니다. "いけない"는 어떤 행동이 허락되지 않거나,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 표현은 단순한 동작이 아니라, 규칙이나 규범, 도덕적인 측면에서 금지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. 아래에서 "いけない"와 관련된 동사의 기본 개념과 활용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1. "いけない"의 기본 개념

**"いけない"**는 기본적으로 "그렇게 하면 안 된다" 또는 "좋지 않다"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는 어떤 행동이 규칙에 어긋나거나 금지됨을 나타내며, 보통 금지 표현으로 많이 사용됩니다.

  • 예:
    • ここに入っ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(여기에 들어가면 안 됩니다.)
    • 嘘をつい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(거짓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.)

2. "いけない"의 어원

"いけない"의 어원은 **"行く (いく)"**와 관련이 있습니다. 여기서 "行く"는 단순히 "가다"라는 뜻이 아니라, 어떤 행동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 "いけない"는 문자 그대로 "그렇게 가면 안 된다"는 의미에서 "안 된다", **"허락되지 않는다"**는 뜻으로 발전했습니다.

3. "いけません"의 의미와 활용

"いけません"은 "いけない"의 공손한 표현으로, 주로 금지나 규칙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.

금지 표현으로서의 사용

  • 〜てはいけません
    • ~해서는 안 됩니다.
    • 예:
      • ここでタバコを吸っ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  (여기서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됩니다.)
      • 窓を開け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  (창문을 열어서는 안 됩니다.)
  • 〜てはいけない
    • 공손한 표현이 아닌,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합니다.
    • 예:
      • この本を読んではいけない。
        (이 책을 읽어서는 안 된다.)
      • 宿題を忘れてはいけない。
        (숙제를 잊어서는 안 된다.)

도덕적이나 사회적 규범에 대한 표현

  • 嘘をついてはいけません。
    • (거짓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.)
    • 도덕적, 윤리적인 금지.
  • 人を傷つけてはいけません。
    • (사람을 다치게 해서는 안 됩니다.)
    • 사회적 규범을 어기는 행동에 대한 금지.

4. "いけない"의 다양한 표현과 활용 예

"いけない"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뉘앙스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 금지 외에도, 개인적인 후회나 실망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.

1) 금지 표현으로서의 "いけない"

  • ここに入ってはいけない。
    (여기에 들어가면 안 된다.)
  • 約束を破ってはいけません。
    (약속을 어겨서는 안 됩니다.)

2) 후회나 실망을 나타낼 때

  • 忘れてはいけないのに、宿題を忘れてしまった。
    (잊어서는 안 되는데, 숙제를 잊어버렸다.)
    → 자신에 대한 후회.
  • こんなことをしてはいけないと思った。
    (이런 일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.)
    → 어떤 행동에 대해 반성하거나 잘못을 인식할 때.

5. "いけません"의 변형과 비슷한 표현

"いけません"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다른 표현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.

1) "だめ"와 "いけない"의 차이

  • だめです:
    • 조금 더 캐주얼한 표현으로, "하면 안 돼요"라는 의미입니다. 주로 친근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.
    • 예: この本を読んだらだめだよ。
      (이 책을 읽으면 안 돼.)
  • いけません:
    • 더 공식적이고 정중한 표현으로, 규칙이나 도덕적인 금지 사항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    • 예: ここでタバコを吸っ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(여기서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됩니다.)

2) "ならない"와 "いけない"의 차이

  • ならない:
    • 상황이 그렇게 되면 안 된다는 의미로, 주로 어떤 규칙을 깨거나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사용됩니다.
    • 예: 規則を守らなければなりません。
      (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안 됩니다.)
  • いけない:
    • 더 개인적인 금지 사항에 사용되며, 주체의 의도나 감정이 더 많이 반영됩니다.
    • 예: 嘘をつい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(거짓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.)

6. "いけません"의 전체적 요약

"いけません"은 금지의 표현으로, 어떤 행동이 사회적 규범이나 규칙에 맞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. 이는 특정한 동작을 금지하는 것뿐만 아니라, 도덕적이거나 윤리적인 규범을 지킬 때에도 사용됩니다.

  • 기본 구조: 〜てはいけません
    • ~해서는 안 됩니다.
    • 예:
      • 宿題を忘れてはいけません。
        (숙제를 잊어서는 안 됩니다.)

이와 같은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면, 일본어의 규범적 표현을 더 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7. 추가 설명

**"いけません"**은 **"行ける (いける)"**의 부정형이 아닙니다. 많은 분들이 "行く"의 가능형이나 그 부정형과 헷갈리곤 하는데, 실제로 "いけません"은 전혀 다른 표현에서 유래합니다.

"いけません"의 정확한 어원과 의미

"いけません"은 "行ける"의 부정형이 아니라, **"いけない"**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. **"いけない"**는 "행동이 허용되지 않거나, 바람직하지 않다"라는 뜻으로, 도덕적, 규범적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.

구체적인 설명

  • **"行ける (いける)"**는 "갈 수 있다"라는 가능형으로, 어떤 일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반면, **"いけない"**는 금지와 제재의 의미를 담고 있어 완전히 다른 표현입니다.

"いけない"의 예시:

  1. ここに入ってはいけません。
    • (여기에 들어가면 안 됩니다.)
    • 규칙이나 규범에 따라 금지되는 행동.
  2. 嘘をついてはいけません。
    • (거짓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.)
    • 도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행동.

문법적 구분

  • "行ける"의 부정형:
    • "行けない" 또는 "行けません"으로 "갈 수 없다"라는 뜻이 됩니다.
    • 예:
      • 今、そこに行けません。 (지금 거기에 갈 수 없습니다.)
    • 이 경우 "行けない"는 가능성을 부정하는 표현입니다.
  • "いけない":
    • 특정 행동을 하면 안 되는, 금지제재의 의미.
    • 예:
      • ここでタバコを吸ってはいけない。 (여기서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.)

요약하자면, "いけません"은 특정 행동이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금지 표현으로, "行ける"의 부정형이 아니며, 동사 "行く"와도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.

728x90
반응형